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용인시,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확충 ‘미적미적’

기사승인 2019.09.22  11:58:05

공유
default_news_ad1
   
▲ 소각용 생활폐기물 하루 처리량 300톤 규모의 처인구 금어리 소재 용인환경센터. (사진= 용인시)

[Y사이드저널 박상욱 기자] 용인시가 늘어나는 인구와 시설 노후 등을 감안해 수년 전부터 제기됐던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확충 문제를 미적미적하다 결국 늑장 대응이란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

시에 따르면, 현재 용인에서 종량제봉투에 담겨 버려지는 생활폐기물의 처리시설(소각장)은 용인환경센터와 수지환경센터 2곳이다. 처인에 있는 용인환경센터은 3개의 소각시설에서 하루 100톤씩 300톤을, 수지환경센터는 2개의 시설에서 각각 35톤씩 70톤을 소각 처리하고 있다.

전체 하루 생활폐기물 처리량이 370톤 규모로 용인시에서 발생되는 하루 생활폐기물은 335톤이다. 얼핏 보면 안정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사정은 그렇지 않다.

소각시설의 내구연한 때문이다. 용인환경센터 1호기는 1999년 준공돼 2017년부터 2019년 철거한 뒤 다시 지은 상태다. 문제는 지난 2005년 준공된 2,3호기다. 올해로 내구연한이 끝나기 때문. 대보수나 폐쇄를 선택해야 한다.

수지환경센터 역시 2000년 준공돼 내구연한이 훌쩍 지난 상태지만 대보수나 폐쇄를 하지 않고 2015년 보수만 한 상태로 사용하고 있다. 언제 문제가 터질지 모르는 일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시설의 내구연한을 15년으로 정하고 있다. 내구연한이 지나면 환경관리공단을 통해 기술진단을 한 뒤 대보수나 폐쇄 승인을 받아야 한다.

게다가 내구연한이 지난 소각시설은 효율성도 떨어진다. 용인시도 소각 처리시설의 최대 가동량이 90%까지 떨어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실제 2곳의 환경센터 소각장 하루 처리량이 335톤에서 310톤으로 떨어졌다.

   
▲ 하루 처리량 70톤 규모의 수지환경센터. (사진= 용인시)

때문에 용인시는 2017년부터 매일 처리가 불가능한 나머지 생활폐기물 25톤을 환경센터 내의 적치장에 쌓아두거나 외부(수도권 매립지 등)로 반출해 처리하고 있다.

용인시는 지난 7월 그제서야 폐기물 처리시설 유치를 희망하는 환경기초시설 입지(신축부지) 선정 계획 결정을 공고했다. 2025년 조성 예정부지를 찾겠다는 것으로 하루 최대 처리량은 300톤 규모다.

뒤늦게 폐기물 처리시설이 필요하다며 땅을 찾는 셈이다. 그마저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에 주민들이 부정적인 점을 감안하면 용인시의 2025년 조성 계획은 녹록치 않다.

반면 인근 지차제는 상황이 다르다. 수원시와 성남시의 경우 하루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500여톤이다. 그러나 용인시의 1.5배가 넘는 시설을 갖춘 수원과 성남의 하루 처리량은 각각 600톤과 690톤이다.

따라서 용인시도 인구 107만 대도시인 점을 감안해 하루 최소 500톤 이상의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을 갖춰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사정이 이렇지만 용인시는 원론적인 입장만 내놓고 있다.

용인시 도시청결과 관계자는 “환경센터 시설 노후화로 보수가 반드시 필요한 상태”라며 “늘어나는 인구를 감안해 현재보다 200~300톤 이상의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을 새로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구체적인 계획을 묻자 이 관계자는 “공식적인 계획은 10월 말 내부결재를 마치고 공식적인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을 아꼈다.

박상욱 기자 ysidej@hanmail.net

<저작권자 © Y사이드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Y사이드저널은 시민들의 후원으로 운영됩니다 -> 응원하러가기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