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용인-성남 경계 버스전용차로 3곳 해제 [용인시]

기사승인 2023.03.15  16:49:24

공유
default_news_ad1
   
▲ 용인시 수지구가 신분당선 동천역 인근의 불합리한 버스전용차로 3곳을 해제했다. 사진은 최근 버스전용차로가 해제된 동천동(904번지) 일원. (용인시 제공)

[Y사이드저널 박상욱 기자] 용인특례시 수지구가 신분당선 동천역 인근의 불합리한 버스전용차로 3곳을 해제했다. 수지구는 효율적이고 편리한 교통환경 만들기에 역량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3월15일 용인시에 따르면, 최근 버스전용차로가 해제된 곳은 국지도 23호선(신수로) 금곡IC~KT삼거리(동천동764-6 일원) 800m 구간이다.

이 구간은 성남시에서 용인시로 이어지는 경계 지점으로 버스전용차로 차선 경계가 모호해 운전자들의 혼란과 교통사고 위험까지 컸던 곳이다.

실제로 기존 3차로였던 버스전용차로가 2차로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파란색의 버스전용차로 차선이 2~3차로를 가로지르는 기형적인 형태 탓이다.

이와 함께 구는 인근의 만당주유소~현대아파트(동천동 904 일원) 600m 구간과 수지중삼거리~KT삼거리(풍덕천동 748 일원) 400m 구간의 버스전용차로도 해제했다.

수지구는 지난해부터 이들 버스전용차로를 해제해달라는 주민들의 요청이 쇄도하자 현장을 확인 후 즉시 정비 계획을 수립, 용인서부경찰서와 협의를 통해 전용차로 해제를 이끌었다.

수지구가 분석해 보니 이들 버스전용차로는 설치기준에도 못 미쳐 해제가 불가피한 것으로 확인됐다.

버스전용차로는 ‘버스전용차로 설치 및 운영지침’ 제3조에 시간당 최대 100대 이상의 버스가 통행하거나 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최대 3000명 이상인 경우 설치할 수 있다.

지난 2010년 버스전용차로로 지정된 이들 3개 구간의 버스 통행량은 시간당 최대 13~40대 수준이다. 이용객도 시간당 최대 163~797명에 불과했다. 구는 지난 2016년 신분당선 개통 이후 교통수요가 분산되면서 이용량이 서서히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수지구 관계자는 “주민 편의를 위한 시설물이 효용성을 잃고 사고 위험 등의 역효과를 내고 있어 버스전용차로를 해제했다”고 설명한 뒤 “앞으로도 구민들이 안전하게 통행하도록 돕기 위해 효율적이고 편리한 교통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욱 기자 ysidej@hanmail.net

<저작권자 © Y사이드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Y사이드저널은 시민들의 후원으로 운영됩니다 -> 응원하러가기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